별거 아니라고 여길 수도 있지만, 돈 모으는 방법은 필히 알아두는 게 좋아요. 저도 처음으로 월급을 받았을 때, 세상을 다 가진 기분이었습니다. 하지만 몇 달이 지나고 보니 통장에 남은 돈은 거의 없었죠. 그러다 마음을 다잡고 돈을 모으기 시작했는데요. 시행착오를 겪으며 찾은 사회초년생의 현실적인 돈 모으는 방법, 지금부터 공유해볼게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해주세요.
사회초년생 돈 모으는 방법
👍🏻 3줄 요약
- 월급을 받자마자 자동이체로 저축하고 소비 습관을 파악해 지출을 줄였습니다.
- 적금·CMA·예금 활용과 소액 투자로 돈을 불리고, 부수입도 함께 마련했습니다.
- 구체적인 목표 설정으로 동기 부여를 얻고, 작은 습관을 지속하며 돈을 모아갔습니다.
1. 첫 월급부터 자동이체로 종잣돈 만들기
처음 월급을 받았을 때 저는 기쁜 마음에 이것저것 다 사버렸습니다. 그 결과, 한 달이 끝나갈 무렵 남은 돈은 거의 없었죠. 그래서 다음 월급부터는 월급일 당일에 일정 금액을 적금통장으로 자동이체 설정해두었습니다.
"남는 돈을 저축하는 게 아니라, 저축하고 남는 돈으로 쓰자"는 원칙이 생겼죠. 처음엔 30만 원부터 시작했는데, 습관이 되니 점차 50만 원, 70만 원으로 늘릴 수 있었습니다.
몇달 적금 습관을 들이다 보니, 저의 소비패턴을 파악할 수 있었고 그래서 그 후 부터는 한달간 얼마정도 사용하면 생활비로는 충분하겠다 판단이 들었습니다. 그 후부턴 정해진 생활비를 제외하고 모아둔 비상금을 놔둔 채, 나머지는 적금통장에 자동이체를 했습니다.
2. 소비 패턴 파악하고 지출 줄이기
제 소비 패턴을 알기 위해 3개월 동안 지출 가계부를 작성해봤습니다. 매일 쓰는 커피값, 편의점 간식, 택시비 등 소소한 지출이 정말 많더라고요.
특히 식비와 배달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어요. 그래서 도시락을 싸기 시작하고, 커피도 집에서 텀블러에 담아가면서 지출이 꽤 줄었습니다. 한 달 평균 20만 원은 아꼈던 것 같아요.
또한 요즘은 새는 돈을 파악할 때 보면, 잘 보지 않는 OTT 구독권이 매달 결제되고 있거나, 통신사 서비스 등이 있더라구요. 그것을 모두 해지하고 필요한 것만 구독하고 쓰임을 줄였습니다.
3. 적금과 CMA 통장 활용하기
돈을 무작정 통장에만 넣어두면 어느새 꺼내 쓰게 됩니다. 그래서 저는 적금과 CMA 통장을 함께 활용했어요.
적금은 중도 해지가 어렵기 때문에 강제로 저축 습관을 기를 수 있었고, CMA 통장은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약간의 이자가 붙어 유용했죠. 또한, 1년간 목표 금액을 정하고 그에 맞는 적금 상품을 찾아 가입하니 동기부여도 확실히 됐습니다.
어느정도 큰 금액을 모으게 되면, 예금통장도 적극 활용했습니다. 요즘은 ETF라던지 ISA에 관심이 생겨 그 쪽으로 투자도 하고 있습니다.
요즘 (2025년 현 시점)은 이자가 매우 낮기 때문에, 대다수 전문가들은 ETF와 같은 투자를 추천하고는 합니다. 또 소수점으로 얼마든지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공부하고 적극 활용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4. 부수입 만들기: 블로그, 중고거래, 재능 판매
정해진 월급만으로는 한계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퇴근 후 시간이나 주말을 활용해 블로그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수익이 거의 없었지만, 몇 달 후부터 애드센스 광고 수익이 들어오기 시작했고, 지금은 월 20~30만 원 정도의 부수입이 되고 있어요. 또한 안 쓰는 물건은 중고로 팔고, 가끔 디자인 의뢰나 PPT 편집 같은 재능 판매도 진행하면서 돈을 조금씩 더 모을 수 있었죠.
저의 블로그에서 늘 말하고 있는 '재능판매, 부업'등이 이곳에 해당됩니다. 적은 돈이라도 차곡차곡 모으다보면 큰 돈이 되기 마련입니다.
처음엔 몇천원이 될 수 있고, 몇 백원이 될 수도 있겠지만, 꾸준히 하게 되면 그 금액은 점차 커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월급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럼 부수입을 고려해보세요.
< 노마드 곰탱 블로그 내용 확인하기 ↓>
5. 돈 모으는 이유와 목표를 구체화하기
처음엔 막연하게 돈을 모았지만, 목표가 생기니 훨씬 수월해졌습니다. 저는 '독립자금 5천만 원 만들기'를 목표로 설정했어요.
목표가 생기니 소비할 때마다 '이 돈을 써도 괜찮을까?'를 스스로 묻게 되더라고요.
또 매월 말, 수입과 지출을 체크하며 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확인하는 루틴도 만들었습니다. 이 습관이 제 경제관념을 크게 바꾸어놓았어요. 또한 목표를 설정해두면, 생각보다 돈이 더디게 모일 경우 지출도 줄이지만, 소득을 늘리려고도 노력했던 것 같습니다.
아무튼 이유와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해놓으면, 돈을 더 빨리 모을 수 있는 것 같아요.
6. 마무리
사회초년생의 돈 모으기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작은 습관을 만들어나가고, 꾸준히 실천한다면 누구든 원하는 목표에 가까워질 수 있다고 믿어요. 저 역시 '나도 과연 돈을 모을 수 있을까?'라는 의심에서 시작했지만, 지금은 제 통장을 보며 스스로 뿌듯함을 느끼곤 합니다. 물론 아직은 부족하다고 생각은 합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목표를 점차 키우면서, 단계별로 성장해나가는 것 같아요.
이 글을 보는 분들도, 오늘부터 한 걸음씩 실천해보세요. 처음은 더디겠지만, 분명 성장하게 될 겁니다. 응원합니다.
오늘은 사회초년생 돈 모으는 방법을 저의 경험에 비롯해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리랜서 > 프리랜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사는법 총정리: 거래시간부터 세금까지 한눈에 (5) | 2025.07.31 |
---|---|
기타소득 세율 몰랐다면 지금 당장 확인하세요 (안 보면 세금 폭탄) (1) | 2025.07.27 |
ISA 계좌란? 완전 정복하기 : 절세와 투자, 둘 다 잡는 비법 공개 (3) | 2025.07.26 |
연금저축 IRP 차이 : 노후 준비를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1) | 2025.07.25 |
프리랜서 안정지원금 지금 신청할 때 (2) | 202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