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혼자서도 잘 벌기/프리랜서 금융

2026년 기준중위소득 미리보기, 얼마나 올랐을까

by 노마드곰탱 2025. 9. 13.
반응형

 2026년 기준중위소득을 발표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바로 이 ‘기준중위소득’이라 할 수 있는데요. 단순히 수치만 올랐다는 의미를 넘어, 복지 혜택의 범위와 기초생활 보장제도의 적용 여부까지 달라지는 기준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2026년 기준중위소득


👍🏻3줄 요약

 

  1. 2026년 기준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649만 4,738원이며, 전년 대비 6.51% 인상됨
  2. 1인 가구 기준중위소득은 256만 4,238원으로, 지난해보다 7.20% 상승했음
  3.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의 선정 기준은 중위소득 대비 각각 생계 32%, 의료 40%, 주거 48%, 교육 50% 비율로 유지

 


 

📍같이 보면 좋은 글

 

2026년 기준중위소득

 

2025년의 기준중위소득 및 계산방법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위의 글을 참조해주세요. 


 

 

1. 기준 중위소득이란

먼저,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가구 소득을 나열했을 때 딱 중간에 해당하는 값으로, 소득 분포를 반영한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단순히 평균과는 다르게 고소득자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실제 서민들의 생활 수준을 보다 현실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지요.

 

이 지표는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차상위계층 판정, 의료급여나 주거급여 같은 다양한 복지제도의 기준으로 사용되며, 심지어 청년 지원 정책이나 긴급 복지제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그러니 내가 속한 가구의 중위소득 구간을 확인하는 일은 단순한 숫자 확인이 아니라, 곧바로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가늠하는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2026년 기준중위소득, 얼마나 올랐을까?

이번 2026년 기준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폭으로 인상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2025년 대비 1인 가구는 무려 7.2% 인상되어 2,564,238원으로 확정되었고, 2인 가구는 6.78% 올라 4,199,292원이 되었습니다. 이어서 3인 가구는 5,359,036원(6.64%↑), 4인 가구는 6,494,738원(6.51%↑), 5인 가구는 7,556,719원(6.31%↑), 6인 가구는 8,555,952원(6.09%↑)으로 모두 6% 이상씩 올랐습니다.

 

제가 직접 표를 비교해 보니, 지난해 대비 체감적으로 꽤 큰 차이가 있더군요. 특히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이 250만 원을 넘어섰다는 점이 눈에 띄었습니다. 요즘 물가 상승으로 인해 혼자 사는 분들의 생활비 부담이 커졌는데, 이 수치 인상은 복지 혜택 확대와 연결되니 긍정적인 변화라 할 수 있겠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60% 1,538,543 2,519,575 3,215,422 3,896,843 4,534,031 5,133,571
100% 2,564,238 4,199,292 5,359,036 6,494,738 7,556,719 8,555,952
120% 3,077,086 5,039,150 6,430,843 7,793,686 9,068,063 10,267,142
150% 3,846,357 6,298,938 8,038,554 9,742,107 11,335,079 12,833,928
180% 4,615,628 7,558,726 9,646,265 11,690,528 13,602,094 15,400,714
200% 5,128,476 8,398,584 10,718,072 12,989,476 15,113,438 17,111,904

 

 

 

 

3. 저소득층 지원, 더 넓어진 복지 혜택

 

중위소득 인상은 단순히 표상의 숫자 변화가 아니라 실제 생활에 직결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각종 급여 선정 기준이 상향되면서, 지원받을 수 있는 가구가 더 늘어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생계급여의 경우 중위소득 32% 이하 가구가 대상인데, 1인 가구 기준으로는 월 820,556원 이하인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급여는 40%, 주거급여는 48%, 교육급여는 50% 이하일 때 해당되는데, 모두 인상된 금액이 적용되니 실제 체감 혜택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저 역시 지인 중 한 분이 주거급여를 받고 있는데, 이번 기준 인상으로 지원 금액이 확대된다는 소식을 듣고 안도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급여별 선정기준-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생계급여(32%) 820,556 1,343,773 1,714,892 2,078,316 2,418,150 2,737,905
의료급여(40%) 1,025,695 1,679,717 2,143,614 2,597,895 3,022,688 3,422,381
주거급여(48%) 1,230,834 2,015,660 2,572,337 3,117,474 3,627,225 4,106,857
교육급여(50%) 1,282,119 2,099,646 2,679,518 3,247,369 3,778,360 4,227,976

 

 

 

 

4. 내 가구 소득은 어디에 해당할까? 확인 방법

 

2026년 기준중위소득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부분이 바로 ‘내 소득이 중위소득 몇 퍼센트에 해당할까?’ 하는 점인데요. 이를 확인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1. 직장인의 경우, 급여명세서에서 공제 전 지급총액(총급여액)을 확인하면 됩니다.
  2. 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료를 조회하고, 이를 보험료율로 나누면 세전소득을 알 수 있습니다.
  3. 국세청 홈택스에서 지급명세서나 소득금액증명서를 발급받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처음에는 조금 복잡할 거라 생각했는데,

건강보험공단 앱에서 바로 조회가 가능해 금방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프리랜서나 개인사업자라면 종합소득세 신고자료를 통해 확인하면 되고요.

 


중위소득의 인상은 분명 긍정적인 변화이지만, 동시에 물가 상승과 생활비 부담 증가라는 사회적 배경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즉, ‘소득 지표가 올랐다 = 생활이 여유로워졌다’는 의미는 아닐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다만, 이를 통해 더 많은 가구가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고, 특히 청년층이나 저소득층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번 발표를 보면서 제 가구의 소득 구간을 다시 한번 계산해보았고, 혹시 받을 수 있는 지원이 늘어났는지 확인했습니다. 블로그를 보시는 여러분도 이번 기회에 본인 가구 소득을 기준 중위소득표와 대조해보고,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적극적으로 찾아보시길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오늘은 2026년 기준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